Enhancing EMI pedagogical curricula to prepar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for socioculturally diverse classrooms

Sumi Kim,Janina Brutt‐Griffler,Myung‐Kwan Park
DOI: https://doi.org/10.1111/ijal.12529
2023-12-06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Abstract:With the rise of English as a global academic lingua franca,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in South Korea's higher education system has grown substantially. This mixed‐methods study contributes to the scholarship on EMI policy and practice by drawing on data from the training experiences and self‐assessment of 327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SETs) regarding their preparation to serve as secondary English teachers, the latter being key to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We examine teachers' English competencies and explore their challenges and associated needs in implementing EMI for their professional success. Our quantitative analysis shows that, for PSETs, English‐speaking skills are the most challenging aspect of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Moreover, current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English proficiency through EMI courses appear to be inadequate. Subsequent analysis shows that English proficiency serves 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association between EMI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bou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Our qualitative analysis further confirms that PSETs have less exposure than expected to language‐related resources in their educational context, and they express a need for greater knowledge of student well‐being and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 We provide a set of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EMI policies and curricula, including offering tailored language modules to develop well‐qualified secondary English teachers. 초록 영어가 국제적인 학문 공용어로 부상함에 따라 한국 고등 교육 체계에서 영어 강의 도입이 크게 확대되었다. 본 연구는 혼합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327명의 예비 중등 영어 교사들이 중등 영어 교사로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교육 경험과 자기 평가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에서의 영어 강의 정책과 실천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예비 영어 교사들의 영어 역량을 검토하고 영어 강의를 실천하는 데 따른 어려움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양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예비 중등 영어 교사들은 영어 구두 능력이 영어 학습과 교육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에서의 영어 강의 수강을 통해 영어 실력을 향상할 기회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분석 결과에서는 영어 실력이 대학에서의 영어 강의 만족도와 중등 영어 교사로서 영어를 영어로 가르치는 수업에 대한 자기 효능감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예비 중등 영어 교사들은 예비 교사 교육 과정에서 예상보다 언어 관련 자원에 덜 노출되어 있으며, 학생의 복지와 언어 및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서도 더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능한 중등 영어 교사들을 양성하기 위한 맞춤형 언어 모듈 제공을 포함하여, 영어 강의 정책 및 교과 과정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linguistics
What problem does this paper attempt to add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