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체제의 구조적 위기와 한국의 신 다자협상 대응 방향 (Structural Paralysis of the WTO Multilateral Trading System and New Negotiation Strategies for Korea)
Jin Kyo Suh,Cheon Kee Lee,Jukwan Lee,Jihyeon Kim,Myeonghwa Jung
DOI: https://doi.org/10.2139/ssrn.3911593
2020-01-01
SSRN Electronic Journal
Abstract:Korean Abstract: WTO의 3대 핵심기능은 모두 구조적 위기에 처해 있다. WTO의 협상기능은 회원국들이 새로운 무역규범을 만들거나 기존의 규범을 수정 및 개정할 때 필요한 협상의 場으로서의 역할을 말한다. WTO 협상기능의 대표적인 사례가 2001년 카타르 도하에서 개시된 도하개발어젠더(DDA)이다. 그러나 DDA는 2020년까지 계속된 협상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성과를 내지 못함은 물론 그 지속 여부조차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협상기능 위기의 원인은 내부와 외부에서 찾을 수 있다. 컨센서스에 기초한 의사결정의 비효율성과 회원국 수의 증가라는 내부 원인도 중요하지만 선진국과 개도국 간 대립이라는 외부 요인, 특히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라는 구도가 현 WTO 체제 위기의 본질이다. 개도국과 선진국이 협상의 핵심 쟁점에 관해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는 점, 미국이 중국 등 비시장경제국가의 체제변화와 직결될 수 있는 WTO의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WTO의 협상기능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근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WTO는 무역정책검토제도(TPRM)를 통해 회원국의 무역정책에 대한 투명성을 제고하고, 각 회원국의 무역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다자체제에서 합의된 규범과 회원국의 무역정책 간 정합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회원국의 통상정책 및 관행, 제도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는 측면에서 TPRM은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검토보고서(TPR)가 정책 입안자나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TPR을 통한 정책제언이 회원국의 무역정책 변화로 이어지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다. 이는 근본적으로 TPRM이 비구속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이며, 회원국의 자발적인 참여 부족으로 국내정책 변화로까지 이어지지 않는 데 원인이 있다. 무역정책검토보고서는 회원국의 수입제한적 조치를 명시할 뿐, 그에 대한 시정을 요구할 수는 없다. 또한 효과적 감시는 정확한 정보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는 데 반해 실제 회원국의 통보준수가 미흡한 점도 TPRM 위기의 원인 중 하나다. 통보의무는 이미 도쿄라운드 때 합의된 내용으로 의무와 절차에 대한 회원국의 지식과 경험이 축적된 상태이지만,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WTO 내의 협력 과정에서도 드러나듯 통보의무 준수는 저조한 실정이다. 한편 통보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의 제한으로 인해 실질적인 정책 활용이나 언론 활용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무역정책검토제도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통보의무 강화가 필요하다. WTO의 분쟁해결기능은 1997년부터 분쟁해결양해 검토(DSU Review)를 통해 환송, 보복 후 절차, 실효적 이행 등 제도와 운영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성과를 내지는 못하였다. 그 와중에 미국은 지속적으로 상소기구 운영에 대한 불만을 표명하였다. 미국은 상소기구가 상소위원 임기 만료 이후에도 상소심 참여를 승인해온 점, 90일 상소 심리기한 미준수, 법정 권한 범위를 넘어 회원국의 국내법 의미 등 사실 문제 심리, 분쟁해결에 필요하지 않은 사안을 검토하고 권고적 의견을 제시하는 등 사법적극주의 행사, DSU에서 인정하지 않는 ‘선례’를 만드는 등 상소기구가 협정상 명시되어 있는 대로 운영되지 않은 점 등을 열거하며 상소기구 운영을 비판했다. 이러한 미국의 불만은 다시 중국과의 대립으로 귀착될 수 있다. 여기에는 DSU가 비시장경제국인 중국의 국영무역과 산업보조금 지급 등 불공정 무역행위를 제대로 규제하지 못하고 있다는 시각이 자리하기 때문이다. WTO 다자체제의 구조적 위기와 함께 글로벌 무역도 WTO 출범 당시와는 환경과 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했다. 우선 신보호무역주의 정착과 미·중 무역갈등의 심화·지속이라는 통상환경 변화를 지적할 수 있다. 세계적인 불평등과 경기부진이라는 경제적 배경에서 등장한 보호주의는 선진국과 개도국을 가리지 않고 이제 통상정책의 한 축으로 정착했다. 미·중 통상마찰의 심화도 이제는 글로벌 무역환경의 상수로 자리 잡았다. 2020년 1월 미·중 간 1단계 무역합의가 있었으나, 코로나19 발생으로 그 이행이 지연되고 있다. 2021년 바이든 신 행정부가 들어서더라도 미국의 대중 정책은 트럼프 행정부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미․중 갈등은 앞으로도 세계 무역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무역의 급속한 서비스화 및 디지털화도 중요한 변화이다. 부가가치 관점에서 보면 서비스 무역 규모는 이미 상품무역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향후 국경간 서비스 공급이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글로벌 가치사슬도 역내 무역 집중 현상이 나타나 과거와 같이 세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가치사슬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드러난 글로벌 가치사슬의 취약성을 보완한다는 측면에서도 가치사슬의 지역화와 소비지 중심으로의 재편이 예상된다. English Abstract: The WTO is facing a historical crisis. Its main functions ‒ namely, providing a negotiating forum, administrating WTO trade agreements and monitoring national trade policies, and resolving trade disputes ‒ are significantly paralyzed. The WTO launched the Doha Development Round in 2001, but failed to produce meaningful outcomes to this day. Further, China’s entry into the WTO has neither opened up its economy, nor created a level playing field when it comes to potentially market-distorting subsidies. The surveillance of trade policies based on the Trade Policy Review Mechanism (TPRM), a fundamentally important activity running throughout the work of the WTO aimed at fostering transparency, is criticized for its lack of effectiveness. Th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DSM), once praised as the WTO’s “crown jewel,” is now on the verge of collapse due to the absence of an appeal court. Although the cause of the crisis is partly institutional, higher uncertainty is also a considerable problem aggravating the fate of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Such uncertainty comes from two factors: rising protectionism, and trade friction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thos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Meanwhile, the WTO also needs to respond to rapid structural changes in global trade. The center of the world’s trade is shifting towards trade in services.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re making it easier to supply services across borders. Global Value Chains’ (GVCs) regionalization or localization is deepening and GVCs are shifting towards knowledge-based goods. The future of the WTO’s negotiating function can be predicted under three scenarios: i) continued functional paralysis of the WTO negotiation system, ii) emergence of an alternative for the WTO, and iii) restoration of the WTO system. As China and the U.S. are on the extremes, it is unlikely that the WTO can revitalize its negotiating function anytime soon. To promote WTO’s accountability, predictability, and transparency,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smoother functioning of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the key issue will be to reinforce WTO’s monitoring role, 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notification requirements. However, opposing position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concerning how to strengthen notification requirements will pose a significant challenge. Restoring the Appellate Body (AB) depends largely on the decision of the United States. Without the U.S.’ suppor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urrent paralysis of the WTO AB will continue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us WTO Members should first identify requests raised by the United States. While the incoming Biden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be friendlier towards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its position on the AB may not differ from that of the Trump administration, given that its veto on the appointment of new AB members was first witnessed during the Obama administration. In that case the AB would be able to restore its function only if a formal amendment of the DSU is successfully finalized – which will take a longer period of time. Korea’s negotiating position under the WTO has changed significantly starting last year since the Korean government decided not to demand for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s as a developing country. The decision is momentous as it could in effect imply graduating from the developing country status in the long run. Such a decision applies to future negotiations, however it is possible that it affects ongoing agricultural negotiations as well. It is thus recommended to be prepared, for instance by securing flexibility regarding sensitive agricultural products like rice. For Korea no longer claims for preferential treatments as a developing country, it could take firm negotiating positions at the WTO concerning market expansion and improved access towards foreign markets. Moreover, Korea could contribute as a mediator to speak for the interests of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on conflicting issues, such as the developing country status. Korea needs to establish a more precise give-and-take negotiation strategy in future WTO negotiations on agriculture, non-agriculture, and service sectors to maximize its national interests. The main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 should put stress on services and TRIPs negotiations to ensure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n those sectors. Second, Korea should focus on how to rais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East-Asian regional value chains by strengthening its cooperation with China, Japan, and Southeast Asia. At the same time, Korea needs to consider ways to become the bridgehead connecting East-Asia’s value chains to either North America’s value chains or EU’s value chains utilizing given FTAs with those economies. Third, Korea should prepare for the emergence of various forms of plurilateral negotiations and where appropriate, take lead and reflect its national interests on the final outcome. Fourth, Korea should put more attention on the possibility of the WTO introducing new norms in order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inally, since it is unlikely that WTO negotiations will make rapid progress, Korea needs to keep a strategic approach, including mid- to long-term perspectives in the WTO negoti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