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Strategies and development direction

Y. Song,Jung-Byung Chae,E. Jeong
Abstract:지금까지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은 보조적인 교수자료나 학습도구로서 인식되어 왔지만 디지털교과서 (Digital Textbook)의 출현으로 컴퓨터와 학교 교육과정 및 수업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컴퓨터의 교육적 역 할이 학습보조수단에서 교수.학습활동의 주된 교재로써의 역할로 바뀌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2007년 3월, 교육과학기술부(MEST)에서 본격적인 디지털교과서 개발과 보급을 위한 준비 단계의 계획으로 ‘디지털교과 서 상용화(常用化) 방안’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는 급변하는 국가.사회적 요구를 교과서에 신속히 반영하고 체계적인 교수.학습 국가 DB를 구축하기 위한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 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정의와 기능을 제시하며, 국내외의 디지털교과서 개발사례를 살펴본다. 또 한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 개발전략 및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Physics
What problem does this paper attempt to add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