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산업구조 고도화에 따른 한·중 경쟁력 변화와 대응전략(korea-China Competitiveness Changes and Our Strategies According to the Industrial Upgrading of China)

Chuel Cho,EunMi Jung,Jongki Kim,Jun Lee,Sanguk Nam,Jaeyoon Lee,Eunchang Lee,Yong Won Cho,Yangpaeng Kim,Woojung Shim,Jayoung Yoon,Go‐Eun Lee,Jayun Lee,Sugyeong Jeon
2020-01-01
Abstract:개혁개방과 WTO 가입 등을 통해 중국 산업은 빠른 양적 성장을 이룩했다. 이에 따라 제조업 부가가치 생산에서 2007년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 대국이 되었고, 2010년 미국까지 넘어서면서 세계 최대 제조대국이 되었다. 이후에도 안정적 성장을 지속하여 2017년 현재 중국이 세계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1%로, 2위인 미국을 10%p 이상 앞서고 있다. 이러한 전체적인 산업 생산과 더불어 개별 산업에서도 세계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가전이나 통신기기는 중국 내 수요뿐만 수출기지로서의 역할로 인해 세계 생산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70% 내외를 기록할 정도로 절대적이며, 철강과 일반기계도 50%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 자동차와 식품 등도 자체 수요에 기인하여 30% 내외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가장 취약한 산업분야는 반도체이고, 석유화학도 아직 공급 부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산업도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나 반도체를 제외하면 중국이 공급 부족을 겪고 있는 석유화학이나 디스플레이도 세계 생산의 25%를 넘어서고 있어 모든 산업에서 양적 성장을 이룬 것으로 볼 수 있다.
What problem does this paper attempt to add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