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unologic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Myoung-Su Park,Seo-Jin Kim,Jun Wang,Gwang-Hee Kim,Deog-Hwan Oh
DOI: https://doi.org/10.11002/kjfp.2012.19.1.110
2012-01-01
Abstract:본 연구는 삼지구엽초의 기능성식품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우리나라 산야에서 존재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삼지구엽초를 극성에 따라 용매별 분획 추출물들의 면역관련 활성을 검토하였다. 삼지구엽초 분획물별 생육촉진 활성은 B와 T cell 모두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분획 추출물이 대조구에 비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도 증가하였다.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삼지구엽초 추출물뿐만 아니라 각 용매별 분획물들도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접변이원 B(${\alpha}$)P에서는 TA98 균주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이 98%,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올 분획 추출물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직접변이원 4NQO에서는 TA98 균주와 TA100 균주에서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가 7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TA98 균주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이 80%,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올 분획 추출물이 90%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삼지구엽초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pimedium$ $koreanum$ Nakai is a wild medicinal plant commonly consumed in South Korea due to its beneficial health effects. In this study, the antimutagenic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E.$ $koreanum$ Nakai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use in food. In the immunomodulating activity, the effects of $E.$ $koreanum$ Nakai on the B cell (Rhamos) and T cell (Molt-4)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and viability of the B and T cells were increased and activated more in the ethylacetate (1.35 and 1.48 times) and water fraction (1.30 and 1.40 times), respectively. In the Ames test, none of the fractions produced a mutagenic effect o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 100. The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a strong antimutagenic effect (98%) on and a high butanol fraction (84%) of B(${\alpha}$)P in $S.$ $typhimurium$ TA98 and TA100, respectively. In 4-nitroquinoline-1-oxide (4NQO), all the solvent fractions showed an over 70% antimutagenic effect, except for the chloroform extract. Especially, ethylacetate and butanol showed strong inhibition of the mutagenic effects (80 and 90%) on 4NQO in $S.$ $typhimurium$ TA98 and TA100, respectively. These results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 $koreanum$ Nakai as an edible food material.
What problem does this paper attempt to add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