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Material Consumption and Experiential Consumption Affect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Differently? : A Terror Management Theory Perspective

Taiwoong Yun
DOI: https://doi.org/10.16914/KJAPR.2018.20.3.78
2018-07-31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Abstract: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죽음의 현저함(mortality salience)이 상품의 질(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품 vs.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대중적 상품)과 상품 유형(물질적 상품 vs. 경험적 상품)에 따라 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표는 죽음의 현저함이 상기되었을 때 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럭셔리 물질적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를 증가시키는지 그리고 대중적 물질적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에 있어서는 죽음의 현저함의 영향이 미미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면에 경험적 상품의 경우에는 물질적 상품과 달리 상품의 질(높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품 vs.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대중적 상품)과 관계없이 죽음의 현저함이 경험적 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를 증가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앞서 제시한 내용처럼 죽음의 현저함이 물질적 상품과 경험적 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논의와 실무적 시사점이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과 함께 제공되었다.
Psychology,Linguistics
What problem does this paper attempt to address?